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백로 (절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백로는 24절기 중 하나로, 대체로 9월 7일이나 8일에 해당한다. 밤 기온이 내려가고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등 가을의 시작을 알리며, 기러기가 남쪽으로 이동하고 제비가 돌아가는 시기로 여겨진다. 백로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월의 세시 - 추분
    태양이 황도상 추분점을 지나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고 곡식을 수확하는 시기인 추분은 24절기 중 백로와 한로 사이에 위치하며 천문학적으로는 춘분과 함께 태양이 천구 적도와 황도가 교차하는 지점을 지나는 때이다.
  • 9월의 세시 - 안거
    안거는 승려들이 참선을 통해 깨달음을 얻기 위해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정해진 기간 동안 한 곳에 머무르며 수행하는 방법이다.
  • 절기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백로 (절기)
개요
명칭백로(白露)
로마자 표기Baengno
일본어 표기Hakuro (はくろ)
영어 표기White Dew
시기
양력보통 9월 7일 ~ 9월 8일경
위치추분과 한로 사이
설명햇볕이 누렇게 변하여 흰 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
밤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 등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
절후와 풍속
한국백로에 벼가 한창 익어가는 시기
지역에 따라 백로 전에 논의 물을 빼는 '백로배기'를 함
백로에 내린 이슬로 만든 술을 마시면 맛이 좋다고 여김
속담: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늘인다."
중국백로 삼후(白露三候):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떠나며, 여러 새들이 먹이를 저장함
백로차(白露茶): 백로 시기에 수확한 차로, 맛과 향이 좋다고 알려짐
백로미주(白露米酒): 백로 시기에 담근 쌀 술로, 저장성이 좋음
일본밤이슬이 맺히는 풍경을 감상하는 풍습
지역에 따라 백로 축제를 개최함
기타
관련 문화백로와 관련된 시, 그림, 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 존재
백로의 이미지를 활용한 상품 개발

2. 시기

백로는 양력으로 9월 7일이나 9월 8일 무렵이다. 2088년, 2092년, 2096년에는 9월 6일이 될 수도 있다.

2. 1. 날짜 및 시간

다음은 백로의 날짜 및 시간 정보이다.

날짜 및 시간(UTC)
연도시작종료
신사(辛巳)9월 7일 13:469월 22일 23:04
임오(壬午)9월 7일 19:319월 23일 04:55
계미(癸未)9월 8일 01:209월 23일 10:46
갑신(甲申)9월 7일 07:129월 22일 16:29
을유(乙酉)9월 7일 12:569월 22일 22:23
병술(丙戌)9월 7일 18:399월 23일 04:03
정해(丁亥)9월 8일 00:299월 23일 09:51
무자(戊子)9월 7일 06:149월 22일 15:44
기축(己丑)9월 7일 11:579월 22일 21:18
경인(庚寅)9월 7일 17:449월 23일 03:09
신묘(辛卯)9월 7일 23:349월 23일 09:04
임진(壬辰)9월 7일 05:299월 22일 14:48
계사(癸巳)9월 7일 11:169월 22일 20:44
갑오(甲午)9월 7일 17:019월 23일 02:29
을미(乙未)9월 7일 22:599월 23일 08:20
병신(丙申)9월 7일 04:519월 22일 14:21
정유(丁酉)9월 7일 10:389월 22일 20:01
무술(戊戌)9월 7일 16:299월 23일 01:54
기해(己亥)9월 7일 22:169월 23일 07:50
경자(庚子)9월 7일 04:089월 22일 13:30
신축(辛丑)9월 7일 09:529월 22일 19:21
임인(壬寅)9월 7일 15:329월 23일 01:03
계묘(癸卯)9월 7일 21:269월 23일 06:50
갑진(甲辰)9월 7일 03:119월 22일 12:43
을사(乙巳)9월 7일 08:519월 22일 18:19
병오(丙午)9월 7일 14:419월 23일 00:05
정미(丁未)9월 7일 20:289월 23일 06:01
무신(戊申)9월 7일 02:229월 22일 11:45
기유(己酉)9월 7일 08:119월 22일 17:38
경술(庚戌)9월 7일 13:529월 22일 23:26
출처: JPL Horizons On-Line Ephemeris System[1]



백로는 대부분 9월 7일이나 9월 8일 중 하루이다. 1931년까지는 9월 9일인 경우도 있었다. 드물게 9월 6일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2088년, 2092년, 2096년이 이에 해당한다.

3. 기후 및 특징

밤에 기온이 떨어지고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등 가을 기운이 완연해진다.[1] 장마가 물러가고 맑은 날씨가 계속되지만, 간간이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으로 말미암아 곡식이 줄기째 부러지고 해일이 일어나기도 한다.[1] 대기가 차가워지면서 이슬이 맺히기 시작할 무렵으로, 일본 력상(曆便覽)에서는 "음기가 점차 무거워지고, 이슬이 엉기어 흰색이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1]

4. 풍속

백로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들 조짐으로 여겼다.[1]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千石)을 늘인다"는 속담도 이러한 믿음을 반영한다.

5. 칠십이후

칠십이후는 백로 기간 동안 일어나는 자연 현상의 변화를 5일 단위로 세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칠십이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홍안래'''(鴻雁來): 기러기가 추위를 피해 따뜻한 남쪽으로 이동한다.
  • '''현조귀'''(玄鳥歸): 제비가 돌아온다는 뜻으로, 여기서 '검은 새'는 제비를 가리킨다.
  • '''군조양수'''(羣鳥養羞): 새들이 겨울을 대비하여 먹이를 비축한다.

5. 1. 한국

백로 기간에 해당되는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

  • 초후
  • * '''초로백'''(草露白) : 풀에 내린 이슬이 하얗게 빛난다.(일본)
  • * '''홍안래'''(鴻雁来) : 기러기가 날아오기 시작한다.(중국)
  • 차후
  • * '''석영명'''(鶺鴒鳴) : 할미새가 울기 시작한다.(일본)
  • * '''현조귀'''(玄鳥帰) : 제비가 남쪽으로 돌아간다.(중국)
  • 말후
  • * '''현조거'''(玄鳥去) : 제비가 남쪽으로 돌아간다.(일본)
  • * '''군조양수'''(羣鳥養羞) : 많은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중국)

5. 2. 중국

중국에서는 백로 기간의 칠십이후를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 '''초후'''(初候): '''홍안래'''(鴻雁來) - 기러기가 날아오기 시작한다.
  • '''차후'''(次候): '''현조귀'''(玄鳥歸) - 제비가 남쪽으로 돌아간다.
  • '''말후'''(末候): '''군조양수'''(羣鳥養羞) - 많은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

5. 3. 일본

일본 력상(曆便覽)에서는 백로에 대해 "음기가 점차 무거워지고, 이슬이 엉기어 흰색이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백로 기간의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

  • 초후
  • * '''초로백'''(草露白, 풀잎에 맺힌 이슬이 하얗게 빛남) : 풀에 내린 이슬이 하얗게 빛난다.
  • 차후
  • * '''석영명'''(鶺鴒鳴, 할미새가 울음) : 할미새가 울기 시작한다.
  • 말후
  • * '''현조거'''(玄鳥去, 제비가 떠남) : 제비가 남쪽으로 돌아간다.

6. 기타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 절기에만 큰 의미가 있으며, 나머지 20개 절기에는 특별한 명칭이나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는,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 지점만 있고, 나머지 20개 절기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는 없다.[2]

7. 절기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만 큰 의미가 있을 뿐, 나머지 20개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가 없다.[2]

날짜 및 시간(UTC)
연도시작종료
辛巳2001년 9월 7일 13시 46분2001년 9월 22일 23시 04분
壬午2002년 9월 7일 19시 31분2002년 9월 23일 04시 55분
癸未2003년 9월 8일 01시 20분2003년 9월 23일 10시 46분
甲申2004년 9월 7일 07시 12분2004년 9월 22일 16시 29분
乙酉2005년 9월 7일 12시 56분2005년 9월 22일 22시 23분
丙戌2006년 9월 7일 18시 39분2006년 9월 23일 04시 03분
丁亥2007년 9월 8일 00시 29분2007년 9월 23일 09시 51분
戊子2008년 9월 7일 06시 14분2008년 9월 22일 15시 44분
己丑2009년 9월 7일 11시 57분2009년 9월 22일 21시 18분
庚寅2010년 9월 7일 17시 44분2010년 9월 23일 03시 09분
辛卯2011년 9월 7일 23시 34분2011년 9월 23일 09시 04분
壬辰2012년 9월 7일 05시 29분2012년 9월 22일 14시 48분
癸巳2013년 9월 7일 11시 16분2013년 9월 22일 20시 44분
甲午2014년 9월 7일 17시 01분2014년 9월 23일 02시 29분
乙未2015년 9월 7일 22시 59분2015년 9월 23일 08시 20분
丙申2016년 9월 7일 04시 51분2016년 9월 22일 14시 21분
丁酉2017년 9월 7일 10시 38분2017년 9월 22일 20시 01분
戊戌2018년 9월 7일 16시 29분2018년 9월 23일 01시 54분
己亥2019년 9월 7일 22시 16분2019년 9월 23일 07시 50분
庚子2020년 9월 7일 04시 08분2020년 9월 22일 13시 30분
辛丑2021년 9월 7일 09시 52분2021년 9월 22일 19시 21분
壬寅2022년 9월 7일 15시 32분2022년 9월 23일 01시 03분
癸卯2023년 9월 7일 21시 26분2023년 9월 23일 06시 50분
甲辰2024년 9월 7일 03시 11분2024년 9월 22일 12시 43분
乙巳2025년 9월 7일 08시 51분2025년 9월 22일 18시 19분
丙午2026년 9월 7일 14시 41분2026년 9월 23일 00시 05분
丁未2027년 9월 7일 20시 28분2027년 9월 23일 06시 01분
戊申2028년 9월 7일 02시 22분2028년 9월 22일 11시 45분
己酉2029년 9월 7일 08시 11분2029년 9월 22일 17시 38분
庚戌2030년 9월 7일 13시 52분2030년 9월 22일 23시 26분
출처: JPL Horizons On-Line Ephemeris System



일시 (UTC)일본중국
19669월 8일 02시 32분OO
19679월 8일 08시 18분OO
19689월 7일 14시 11분OO
19699월 7일 19시 55분OO
19709월 8일 01시 38분OO
19719월 8일 07시 30분OO
19729월 7일 13시 15분OO
19739월 7일 18시 59분OO
19749월 8일 00시 45분OO
19759월 8일 06시 33분OO
19769월 7일 12시 28분OO
19779월 7일 18시 16분OO
19789월 8일 00시 02분OO
19799월 8일 06시 00분OO
19809월 7일 11시 53분OO
19819월 7일 17시 43분OO
19829월 7일 23시 32분OO
19839월 8일 05시 20분OO
19849월 7일 11시 10분OO
19859월 7일 16시 53분OO
19869월 7일 22시 35분OO
19879월 8일 04시 24분OO
19889월 7일 10시 12분OO
19899월 7일 15시 54분OO
19909월 7일 21시 37분OO
19919월 8일 03시 27분OO
19929월 7일 09시 18분OO
19939월 7일 15시 08분OO
19949월 7일 20시 55분OO
19959월 8일 02시 49분OO
19969월 7일 08시 42분OO
19979월 7일 14시 29분OO
19989월 7일 20시 16분OO
19999월 8일 02시 10분OO
20009월 7일 07시 59분OO
20019월 7일 13시 46분OO
20029월 7일 19시 31분OO
20039월 8일 01시 20분OO
20049월 7일 07시 13분OO
20059월 7일 12시 57분OO
20069월 7일 18시 39분OO
20079월 8일 00시 29분OO
20089월 7일 06시 14분OO
20099월 7일 11시 58분OO
20109월 7일 17시 45분OO
20119월 7일 23시 34분OO
20129월 7일 05시 29분OO
20139월 7일 11시 16분OO
20149월 7일 17시 01분OO
20159월 7일 23시 00분OO
20169월 7일 04시 51분OO
20179월 7일 10시 38분OO
20189월 7일 16시 30분OO
20199월 7일 22시 17분OO
20209월 7일 04시 08분OO
20219월 7일 09시 53분OO
20229월 7일 15시 32분OO
20239월 7일 21시 26분OO
20249월 7일 03시 11분OO
20259월 7일 08시 52분OO
20269월 7일 14시 41분OO
20279월 7일 20시 28분OO
20289월 7일 02시 21분OO
20299월 7일 08시 11분OO
20309월 7일 13시 52분OO
20319월 7일 19시 49분OO
20329월 7일 01시 37분OO
20339월 7일 07시 19분OO
20349월 7일 13시 13분OO
20359월 7일 19시 01분OO
20369월 7일 00시 54분OO
20379월 7일 06시 44분OO
20389월 7일 12시 25분OO
20399월 7일 18시 23분OO
20409월 7일 00시 13분OO
20419월 7일 05시 52분OO
20429월 7일 11시 44분OO
20439월 7일 17시 29분OO
20449월 6일 23시 15분OO
20459월 7일 05시 04분OO
20469월 7일 10시 42분OO
20479월 7일 16시 37분OO
20489월 6일 22시 26분OO
20499월 7일 04시 04분OO
20509월 7일 09시 59분OO
20519월 7일 15시 50분OO
20529월 6일 21시 41분OO
20539월 7일 03시 37분OO
20549월 7일 09시 18분OO
20559월 7일 15시 14분OO
20569월 6일 21시 06분OO
20579월 7일 02시 42분OO
20589월 7일 08시 36분OO
20599월 7일 14시 25분OO
20609월 6일 20시 09분OO



처서 → '''백로''' → 추분

참조

[1] 학술지 The Twenty-four Solar Terms of the Chinese Calendar and the Calculation for Them https://en.cnki.com.[...] 1994
[2] 웹사이트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